photography

 

Personal Landscape
 
Can someone belong to the land, if she was born there or lived there for a good while? Is this determined by where the body exists or what the spirit relies on to subsist?
Is what we see the same as what there is? Or is what we see what we believe is there? There is a landscape that my physical eyes cannot see but my mind can discern. It doesn’t exist and yet it is always there.

When I first came to New York, I spent a lot of time wandering around the city thinking of my hometown, which, ironically, I had wanted to leave for long time. I was looking to find a tiny corner shop where I used to frequent everyday as a child while I was turning a corner in NY. I often looked up expecting to see the mountains, which are everywhere surrounding Seoul instead of the skyscrapers of Manhattan. More than ever before, I came to believe that I belonged in my native country. I found myself pining away for the place, which I once desired to escape. However at one point when I visited my country, I realized that it took more and more time to readjust to the city and find my bearings. I began aching for the comfort of my bed, my desk, and the streets that I could walk eyes-closed from force of habit. I concluded that my native country had started pushing me away to a region where I would be called a stranger. 
The city that made me an outlander for the first time in my life also gave me a sense of belonging. Like it or not, the streets, smells and people become something that I grew accustomed to. On the other hand, the land that my blood belongs to, the wind where my past is alive, and the very air that my family is breathing is all leaving my body. The emptier I feel, the more I want to return.
The similarity and unfamiliarity of these two places have started to intermingle and balance each other out. Have I become a stranger and a native daughter to both places at the same time?  
In this series, I envisioned the third city that only exists in me. Taking apart and reassembling the two cities where I am rooted made these personal cityscapes. I built this cityscape to reconcile and call a truce to the contest they wage inside of me.     

For the past three years I photographed views of New York City and Seoul, establishing two parallel archives each without committing to a finalized vision for a digital composite. Among the photographs, I chose the images, which would function as main images or stages for the work. I would then question these images repeatedly until I understood that something about them could be shifted or altered with an additional element, sometimes several elements, or a large building block taken from an image from the other city. In some cases, I decided to combine photographs, which have similarities to each other. For instance, the Highline in NY and Cheonggyecheon in Seoul both have elevated rails and used to have an elevated highway running through them.  Also, there are old warehouse buildings and small mills in their surroundings. Sometimes I altered the part, which I “missed” and wished I could find in the other city. For example, I might substitute the typical NY brick wall with the shabby wall where I used to play and walk by everyday and night of my childhood; or perhaps switch the windows from which I observe different scenes of city life. Also, quite often the new landscapes were made by intuition. At a technical level, all composites require that I carefully calibrate elements such as color temperature, perspective or shadows to make the photographs look seamless, just as if they existed in another city somewhere.  

Hye-Ryoung Min

2015

개인적 초상화

우리는 어느 공간에 온전히 속할 수 있을까. 그곳에서 태어났다면, 혹은 오랫동안 살았다면  그곳에 속한다고 할 수 있을까. 

우리는 눈에 보이는 것이 실제 그곳에 있다고 믿는가, 아니면 그곳에 있다고 믿는 것을 보는가. 나에게는 물리적인 눈이 보지 못하는 마음이 바라보는 풍경이 있다.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지만 언제나 존재하는 풍경이다.

내가 이곳, 뉴욕에 처음 왔을 때에는 거리를 걸으며 많은 시간 이곳의 풍경에 내 고향을 대입시키려 애썼다. 코너를 돌면 어린 시절 매일 가던 구멍가게가 있을 거라고 믿었고, 고개를 들어보면 고층 빌딩이 아닌 산과 언덕이 보이기를 갈망했다. 내가 그렇게 떠나고자 했던 그곳을, 떠나온 이곳에서 그리고 있었다. 그 어느 때보다도 내 영혼이 내 고향에 속해 있다고 믿게 되었다. 그러나 어느 순간 한국을 방문할 때마다 이방인으로 밀려나버린 나는 그 도시를 걷기 위해 닫힌 마음을 여는 데 점점 더 오랜 시간이 필요해지기 시작했다. 나의 침대와 책상, 내가 눈을 감고도 걸을 수 있는 뉴욕의 거리가 내게 더 익숙해져있다는 것을 알아차리는데 오랜 시간이 걸렸다.

생에 처음으로 나를 이방인으로 만들었던 뉴욕에서 나는 이곳이 내가 있어야 할 곳이라는 신념을 얻었다. 그것이 좋은 것이던 마주하고 싶지 않은 것이던. 그 흙 속에 내 피가 흐르고 바람 속에 과거가 살아 숨 쉬고 가족이 뿌리내린 한국이 나를 이방인으로 밀쳐내고 있다는 것도 느꼈다. 또한 그럴수록 그곳에 대한 그리움의 집착은 똑같은 속도로 내 안에 자라나고 있었다.

나는 이 두 곳의 낯섦과 익숙함이 교차되어 어느 것에 더 무게를 두어야 하는지 모르는 시간에 와있었다. 어느 곳을 그리워하고 어느 곳에 나를 뉘어야 하는지 그 경계는 무너졌다.

이 작업은  두 도시를 내 가슴속에서 세운 제3의 도시의 모습이다. 지난 수년 동안 뉴욕과 서울을 오가며 디지털 작업의 구체적인 선계획 없이 많은 아카이브 작업을 해왔다. 그 사진들 중 메인 이미지를 신중히 선별하고 다른 도시에서 일부분 혹은 작은 요소들을 정교하게 합성해 나가는 작업을 했다. 때로는 건물, 숲 전체를 합성하기도 했고, 때로는 하수도 관이나 작은 쓰레기 조각을 오려 붙이기도 했다. 예를 들어 한때 뉴욕의 고가도로였던 하이라인에 걸쳐진 빌딩 숲에 청계천의 건물들을 섞어놓거나, 낡은 뉴욕 건물의 벽과 어린 시절 나의 놀이터이자 매일같이 마주하던 뒷골목의 오래된 골목 벽을 이어 붙이기도 했고, 서울의 동네 어귀 창문에 뉴욕의 창문을 대입시키기도 했다. 나의 구체적인 기억이 꿰매어지기도 했고, 때로는 직관으로 이미지들이 모여지기도 했다.

민혜령

2015